▶ 암 환자들에게 “긍정적 자세가 가장 중요” 조언

영화 ‘그리스’ OST 앨범 올리비아 뉴튼 존과 존 트라볼타
작년 가을 세 번째 암 투병 사실을 알린 호주 출신 가수·작곡가 겸 배우 올리비아 뉴튼 존(70)이 '대마'(Cannabis)를 이용해 병세를 극복하고 있다며 근황을 전했다.
5일 USA투데이에 따르면 뉴튼 존은 전날 야후 라이프 스타일과의 인터뷰에서 "힐링을 위해 대마를 많이 쓴다. 통증과 불면증에 놀라운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건강과 웰빙을 위해 사용되는 의료용 대마 옹호론자를 자처하면서 "오피에이트(Opiates)는 사람들을 죽게 하지만, 대마는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뉴튼 존은 앞서 지난달 '피플 매거진'에 "사업가인 남편 존 이스털링(66)이 캘리포니아 주 농장에서 직접 재배해 액상 형태로 가공한 대마를 매일 4~5차례씩 복용한다"고 밝힌 바 있다.
캘리포니아 주는 1996년 의료용 대마를 합법화한 데 이어 작년 1월1일 오락용까지 합법화 했다.
1970~80년대 미국 스크린과 브라운관, 무대를 넘나들며 '만인의 연인'으로 불렸던 뉴튼 존은 1992년 처음 유방암 진단을 받았다. 오랜 투병 끝에 건강을 회복하고 1998년 활동을 재개했으나 2013년 교통사고를 계기로 암이 전이된 사실을 알게 됐고, 지난해 세 번째로 척추암 진단을 받았다.
뉴튼 존은 암 환자들에게 "이겨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자세와 의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지난달 췌장암 4기 판정을 받았다고 공개한 미국 최장수 퀴즈쇼 '제퍼디'(Jeopardy) 진행자 알렉스 트레벡(78)에게 "진행 단계나 생존율 같은데 신경 쓰지 말고, 스스로를 어떻게 치유시켜갈 지에 초점을 맞추고 그 과정을 집중해서 지켜보라"는 메시지를 보냈다고 밝혔다.
이어 "유머 감각이 매우 중요하다"면서 "트레벡은 훌륭한 자세를 가졌고, 뛰어난 유머 감각을 소유하고 있다. 그가 반드시 극복할 것을 믿는다"라고 말했다.
뉴튼 존은 2008년 기금을 조성, 어린 시절 성장한 호주 멜버른에 자신의 이름을 내건 '올리비아 뉴튼 존 암 센터'(ONJ Cancer Centre)를 설립하고 암 연구와 환자 지원을 해왔다.
그는 지난 1월 한 매체가 사망 임박설을 보도한 후 소셜미디어를 통해 "루머가 과장됐다. 나는 잘 지내고 있다"며 소식을 전하기도 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9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아랫분께...가문의 비밀이라 말 못합니다...
50년 피신 분, 자녀들하고 손주들 하고도 즐기시죠?
50년 사용중인데 부작용 모르겠군요. 아직 사고친 경우도없고 그리고 대마초는 중독성이 아니고 습관성입니다. "Let me be there"의 가수.올리비아 쾌차하시길 바랍니다.
모든 중독성을 가진게 좋을수 없지요. 한약으로 효과를 본 분들은 그것만 고집하시고 양약을 주장하시면 그걸로 회복이 되면 되는거고 본인의 건강을 위해 알아서 잘 관리하는게 최대한의 길인것 같네요. 오죽하면 대마초로 고통을 약화하려고 쓰겠습니까? 우리는 이런걸 이해해 줘야할것 같습니다.
솔직하 올리비아가 무슨 영화에 출연한 배우인지는 몰라도 대마초는 제대로 쓰면 많은 도움이 됩니다. 특히 몸에 통증있으신 분들 통증완화제에 중독되는게 두려우면 대마초 도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