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저임금·파업으로 생산 차질 “임금 더 오르면 문 닫을 수밖에”
“(쉬고 있는) 이 사람들 다 제화공이에요. 그런데 오전에만 일하고 오후에는 할 일이 없어 앉아서 TV 보고, 커피를 마시는 거예요.”
국내 신발공장의 70% 이상이 모여 있는 ‘제화 메카’ 성수동도 결국 최저임금 인상의 여파를 피해갈 수 없었다. 지난해 제화 공임이 15~20% 인상됐지만 생산불안과 경기침체 등으로 국내 주문량이 큰 폭으로 줄면서 수익이 악화돼 폐업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3개월간 성수동에서만도 크고 작은 완제 업체 50곳 이상이 문을 닫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건비 상승에 부담을 느낀 탠디·미소페·소다 등 대형 제화업체들이 국내 생산량을 크게 줄이고 해외 비중을 빠르게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민주노총에 소속된 제화공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해 지난해 초부터 여름까지 임금 인상 등을 요구하며 비정기 파업을 벌인 것도 생산불안을 부채질했다.
국내 유명 구두 브랜드로부터 일감을 받아 10년 넘게 일해온 완제 업체가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문을 닫은 뒤, 해당 업체의 재하청 업체뿐 아니라 다른 대형 구두 브랜드 하청공장들도 폐업하거나 폐업을 위해 생산을 중단한 상황이다. 인건비가 저렴한 중국·동남아로 이전하는 업체도 있지만 이는 극소수다.
성동지역경제혁신센터의 ‘2017년 성수동 제화 업체 현황 조사’에 따르면 당시 성수동에는 총 382개 제화 관련 회사가 있었다. 그 중 271개사는 브랜드 업체 및 공장이고 나머지 98개사는 원부자재 업체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올해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제화 공임 추가 인상 가능성과 퇴직금, 4대 보험 보장 등 기존에는 인건비에 포함되지 않았던 항목이 추가될 수 있어 제화 업계는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내 대형 패션업체의 한 완제 업체 대표는 “제화공들이 월 300만~500만원씩 가져가는데 우리 부부 둘이 합쳐 400만원을 버는 상황에서 인건비 부담이 더 늘어나면 폐업 말고는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10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야~인마~~게스트~~~나는 좌파가 아니다~~~정의 파고~~진실 파고~~~민주주의 파다~~~그리고 올바른 약자 편이고~~~뭐든 쫌 똑바로 보고 알려고 노력 하거래이~~~밤낮 가짜 뉴스나 보고 ~~좋아서 침 질질 흘리지 말고
It is called sarcasm, LOL.
nope. blue is feeling blue..
Are you okay, Blue?
미국에는 외 제화업체가 없을까? 외다 중국산 아니면 동남아시산인지? 미국도 최저임금을 중국수준으로 내리자. 수구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