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중 미대사관, 위챗 통해 펜스·폼페이오 발언 포스트
중국이 미국 선거와 정치에 개입하고 있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 중국 비판과 함께 미국이 중국 현지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자국의 입장을 직접 알리는 전략에 나섰다.
블룸버그통신은 1일 이를 미국 외교관들이 중국 공산당의 '홈경기장'에 들이닥쳐 일반 중국인 네티즌을 직접 설득하는 모양새라고 전했다. 중국 관영매체가 지난달말 트럼프 대통령 지지층이 많은 아이오와주 최대 일간지 '디모인 레지스터'에 무역전쟁을 비판하는 내용의 광고를 게재한데 대한 반격 격이다.
중국 주재 미국대사관은 최근 위챗(微信·중국판 카카오톡) 공식 계정에 '중국과의 신냉전 선언'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의 지난달 4일 연설 발췌문에 대한 중국어 번역본을 올렸다.
"중국이 미국의 국내 정책과 정치에 개입하기 위해 선제적, 강압적 방식으로 그 힘을 사용하고 있다"고 주장한 펜스 부통령의 연설문은 이를 통해 미대사관 위챗 계정의 200만명 팔로워에게 공유됐다.
주중 미국대사관은 지난달 29일엔 마이클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의 최근 언론인터뷰 내용도 중국어로 번역해 올리기 시작했다.
여기엔 폼페이오 장관이 신장 자치구의 재교육 수용소에 1백만명이나 되는 무슬림 소수민족이 구금돼 있다며 중국의 인권침해를 비난한 인터뷰 내용도 포함됐다. 그는 지난달 26일 살렘 라디오방송의 '휴 휴잇 쇼'에 출연해 "이 수용소는 분명 중국인들이 종교의 자유를 누리는 것을 억누르기 위한 중국 당국의 노력"이라고 주장했다.
위챗에 올려진 이런 포스트는 미중 무역전쟁을 둘러싼 교착상태가 이어지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일반 중국인과 직접 소통해 미국의 입장을 설명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텐센트(騰迅·텅쉰)가 운영하는 위챗은 페이스북, 트위터 등 미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가 차단된 가운데 중국 내 10억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SNS 매체다.
미국의 이런 전술은 과거 이란에서도 사용된 적이 있었다.
중국이 미국의 이런 행동을 얼마나 용인할지는 불투명하다. 중국 공산당 정부는 이슬람 교도인 위구르족의 처우 등 민감한 이슈에 대한 인터넷 검열을 강화하고 관영매체들의 보도도 차단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 5월 중국의 또다른 소셜미디어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에 외국 항공사들을 상대로 대만을 국가로 표기하지 말라는 중국의 요구와 관련해 '오웰리언적(전체주의적) 난센스'라고 비판하는 성명을 올리기도 했다.
미국은 앞서 중국내 각 공관에서 모니터링한 공기의 질 측정량을 시간마다 트위터 계정에 올려 중국 당국을 자극하기도 했다. 이는 중국 정부가 발표하는 데이터의 공신력에 의문을 제기하며 중국의 악명높은 대기오염 문제에 대한 논란을 촉발시켰다.
당시 중국 정부는 미국의 이런 조치를 비난했지만 결국에는 보다 신뢰성 높은 데이터를 발표하기 시작했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도 대기오염 문제를 중국의 3대 긴급사안중 하나로 선언하기에 이르렀다.
자국 지도자를 비판할 기회가 거의 없는 중국 네티즌들로선 펜스 부통령과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은 신랄하기 짝이 없다. 폼페이오 장관은 시 주석의 '트레이드 마크'인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구상을 두고 '해외로 부패를 퍼뜨리는 일'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주중 미국대사관이 올린 포스트에서 폼페이오 장관은 "중국은 현지 주민들에게 피해를 끼칠 인프라 프로젝트를 따내는 대가로 해당 국가의 고위 지도자들에게 건네는 뇌물과 함께 등장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