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8세 여성 환자가 기억력 감퇴를 호소하며 필자를 찾아왔다. 환자는 약 1-2년 전부터 건망증이 시작되어 환자의 주치의로 부터 치매진단을 받고 오래 전 부터 치료약을 복용하여 왔다고 하였다.
병원에 함께 방문한 딸에 의하자면 환자의 단기 기억력이 최근 들어 더욱 눈에 띄게 떨어졌으며, 이로 인해 몇 달 전 부터는 더 이상 환자 스스로 각종 세금 고지서를 처리할 수 없을 정도로 상태가 나빠졌다고 하였다.
환자를 진료하는 가운데 필자가 주목한 환자의 증상 가운데 한 가지는 바로 걸음걸이의 이상(gait disturbance)이었다. 환자의 딸에 의하자면 공교롭게 환자의 건망증 발생 당시, 즉 약 1-2년 전부터 이 보행 장애의 증상도 시작되었다고 하였다.
환자는 시간이 지날 수록 걷는데 더욱 불편하게 되어 더 이상 제대로 걸음걸이를 정상적으로 뗄 수 없게 되었다고 하였다. 환자의 보호자는 또한 환자가 일어선다든가 할 경우엔 매우 자주 어지럽다고 호소한다고 하였으며 이 또한 환자의 걸음걸이를 매우 불안하게 하는 이유 중의 하나라고 하였다.
또한 주목할 만한 사실로 환자가 가진 가족력이었다. 환자의 어머니는 알쯔하이머병과 파킨슨병으로 진단 받았다고 하였으며, 9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는데, 생전에 환시와 환청 증상을 자주 호소하였다고 하였다. 환자는 은퇴한 방사선 테크니션이었으며, 현재는 남편을 사별하고 혼자 살고 있다고 하였다. 환자의 경우 음주력이나 흡연력은 전혀 가지고 있지 않았다.
계속하여 필자가 시행한 환자의 인지기능(cognitive function) 검사는 주목할 만 하였는데, 환자의 간이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는 30점 만점에 27점으로 정상이었으나, 함께 시행된 레이-오스테리에쓰 검사(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에서는 매우 심한 시공간 지각력의 장애를 보였다.
또한 신경학적 검사에서는 파킨슨병을 시사하는 소견인 가벼운 경직 상태와 손 떨림 증상이 오른쪽에서 감지되었다.
더욱 흥미로운 진찰 소견으로는 환자에게 안구 운동을 시켜 보았을 때 매우 특이하게도 환자는 머리 위로 눈을 치켜 뜨는 동작(upgaze)을 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지면 관계상 이 흥미로운 환자의 이야기와 더불어, 필자가 내리게 된 진단에 대해서는 다음 기회에 이어서 진행 하도록 하겠다.
문의 (703)277-3360
<임정국 신경내과 전문의 의학박사>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