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경제수도라는 뉴욕이 쥐와 빈대 때문에 골머리를 썩고 있다.
5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뉴욕시는 최근 수년간에 걸친 노력에도 쥐로 인한 피해가 증가추세를 보임에 따라 쥐를 잡는 노력과 함께 쥐의 서식환경을 차단하기 위한 대책들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뉴욕시는 신고가 들어오면 관계자를 보내 대응하는 소극적인 방법에서 벗어나 쥐가 많이 서식하는 지역의 구체적인 정보를 컴퓨터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 효율적인 박멸대책 수립에 나서고 있으며 쥐의 서식환경을 차단하기 위한 대민 홍보활동도 강화하고 있다.
쥐의 서식환경이 조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민들을 상대로 쥐의 먹이가 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도록 유도하는 한편 시민들이 새 모이를 주는 것도 쥐의 창궐을 불러올 수 있음을 주지시키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는 것.
뉴욕시의 이같은 노력은 전임 루돌프 줄리아니 시장 시절부터 쥐 박멸을 위한 특별대책팀을 구성, 다양한 시도를 펼쳤으나 쥐 피해 신고는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따른 것이다.
또한 쥐가 쥐약에 대해 내성을 보이면서 쥐약을 통한 박멸효과가 떨어지고 있는 것도 한 이유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 회계연도 뉴욕시의 쥐 피해는 마이클 블룸버그 시장이 취임한 지난 2002년에 비해 배 이상 늘어난 3만2천160건.
뉴욕시 내 쥐 서식률은 임대주택의 28.7%, 주인 소유주택의 7.6%로 지난 1990년대 말에 비해 크게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쥐 피해 신고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어 관계자들을 혼란에 빠뜨리고 있다.
이에 따라 블룸버그 시장은 지난 2000년 전임 줄리아니 시장이 만든 합동대책회의를 22개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하는 회의로 확대, 매주 화요일 정례모임을 통해 쥐 박멸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한편 뉴욕시내 공립학교에서 빈대가 빈번하게 출몰하고 있어 시 당국에 또 다른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뉴욕포스트는 지난 10월 1일 현재 시내 24개 공립학교에서 빈대가 발견됐다는 보고가 34차례나 있었다면서 특히 한인 밀집지역인 플러싱이 있는 퀸즈와 고급 주택가로 알려진 롱아일랜드 일부지역에서 빈대 신고가 많았다고 전했다.
(뉴욕=연합뉴스) 김계환 특파원 kp@yna.co.kr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