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약했던 레바논 민생경제, 대참사 후 더 깊은 나락
▶ “아무것도 살 수 없다” 절망
![[글로벌 이슈] 베이루트 대폭발이 남긴 건 ‘빈곤’ 뿐 [글로벌 이슈] 베이루트 대폭발이 남긴 건 ‘빈곤’ 뿐](http://image.koreatimes.com/article/2020/08/17/202008172235595f1.jpg)
16일 베이루트 폭발 참사 현장을 찾은 한 신부가 희생자를 추모하는 미사를 진행하고 있다. [로이터]
수도 베이루트를 초토화시킨 대규모 폭발 사고 이후 레바논 국민들이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다. 안 그래도 허약하기만 했던 민생 경제의 모순이 참사를 계기로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이다. 국고는 텅 비어 돈도 마음대로 꺼내 쓸 수 없고, 먹을거리 가격은 치솟아 통조림 하나로 끼니를 해결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야말로 첩첩산중인 레바논의 미래다.
월스트릿저널(WSJ)은 16일 “새로운 위험이 레바논을 괴롭히고 있다”며 빈곤과 기아가 일상이 된 현실을 전했다. 40%에 달하는 실업률과 엄청난 인플레이션, 10개월 동안 무려 80% 넘게 하락한 레바논 파운드화 가치 등 레바논 경제가 안고 있는 온갖 문제가 폭발 참사를 통해 까발려졌다는 게 신문의 진단이다.
요즘 레바논 국민들은 배고픔에 지쳐 있다. 지난해 향수와 장난감 가게를 폐업한 무하마드 문지르(48)는 5명의 자식을 건사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콩 통조림 하나로 온 가족이 입에 풀칠을 해야 할 만큼 참사 이전에도 상황은 나빴다. 근근이 가짜 향수를 팔아 연명했지만 폭발 사고 여파로 지난 3주간은 이마저도 허락되지 않았다. 하루가 멀다 하고 치솟는 물가에 “아무것도 살 수 없다”는 절망이다. WSJ는 “인플레이션을 따라잡지 못해 상품 가격이 하루에도 몇 차례씩 오르고 있다”며 “일부 브랜드는 아예 이른바 ‘짝퉁’으로 대체돼 진열대에서 사라졌다”고 전했다.
국제금융기관들은 이전부터 레바논의 빈곤 문제를 꾸준히 경고해왔다. 세계은행(WB)은 지난해 11월 상황을 이대로 방치하면 레바논 국민의 22%는 극빈층, 45%는 빈곤층 아래로 내몰릴 수 있다는 보고서를 내놨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