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가 한 행동을 크게 후회하는 것을 우리는 “땅을 치고 후회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영어에서는 kick oneself 즉 자기 자신에게 발길질을 한다는 식으로 표현한다.
아마도 정몽준이 지금쯤은 kick himself하고있을 것이다. 자기가 노무현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하면 자기를 지지했던 사람들이 모두 자기 말을 들을 것이라고 생각한게 착각이었다,
그의 돌출행동은 그의 지지자들을 오히려 화나게 만들었고 그 결과 노무현이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하루만 참았더라면 정몽준은 노무현 대통령 만들기의 일등공신으로 대접받았을 것인데, 지금은 아무한테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낙동강 오리알 신세가 되었다. 글자 그대로 땅을 치고 후회할일이다.
“후회한다”는 말은 regret(리그렛트)라고도 하고, sorry(쏘오리)라고도 한다. sorry 는 우리가 보통 “미안하다”는 뜻으로만 알고 있지만 “후회한다”는 뜻으로도 쓴다. I’m sorry I married Jane.은 “나는 제인과 결혼해서 미안하다”가 아니라 “나는 제인과 결혼한 것을 후회한다”는 뜻이다.
허겁지겁 공항에 도착했으나 비행기는 이미 떠나고 없다. 이럴 때 을 때 “좀 더 일찍 집에서 나올 걸”하고 말하기 마련인데, 영어로는 I should have left home earlier.(아이 슈드 해블 렙트 호옴 얼리어)라 하면 된다. should 다음에 현재 완료형을 쓰면 “∼할 걸”하고 후회하는 말이 된다.
A: I’m sure Chung Mong-Joon is kicking himself now for parting ways with Roh Moo-Hyun just eight hours before voting began.
B: I’ll bet.
A: 투표 개시 겨우 8시간 전에 노무현과 갈라선 것을 정몽준은 지금 땅을 치고 후회하고 있을 겁니다.
B: 그럴테지요.
A: I‘m sorry I dumped Jim.
B: Now you realize what a nice guy he was, eh?
A: 내가 짐을 차버린 것이 후회가 돼.
B: 짐이 얼마나 좋은 남자인지 이제야 깨달았단 말이지?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